재채기, 코막힘, 콧물,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감기!
감기는 대부분의 성인이 1년에 한 번씩 걸릴 정도로 흔한 질병인데요.
적절하게 치료를 받으면
7~10일 이내에 좋아지기 때문에
가정에서 종합 감기약을 구비해 두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런데 감기약을 먹은 후
수면제를 먹은 것도 아닌데
졸음이 오는 증상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왜 감기약을 먹으면 졸음이 쏟아질까요?""
감기약 졸음의 원인은 바로 항히스타민제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콧물과 재채기, 코 가려움증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항히스타민제는 체내의 중추신경계를
진정 시켜 졸음을 유발합니다.
이런 이유에서 점심 약에는
항히스타민제를 빼고 처방해주기도 하죠.
또한, 아침, 점심, 저녁으로 감기약을 나누어
복용하라고 권하기도 합니다.
다행히도 항히스타민제는 1세대와 2세대,
3세대로 진화하면서 졸음 등의 부작용을 줄였습니다.
만약 졸음이 걱정된다면 약을 처방받을 때
졸리지 않은 약으로 처방받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또한 되도록 약 복용 후 운전, 공부 등
집중력이 필요한 일은 피하고
졸음이 덜했던 약을 기억했다가
의사에게 미리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기는 식사 전후, 외출 후 등
손을 잘 씻으면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습관이 중요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LH청년 매입임대주택 예비입주자 신청 방법 및 자격요건 알아보기 (0) | 2021.04.04 |
---|---|
대표 간식! 고구마 효능 이런 게 있었네? (0) | 2021.03.28 |
잘자는법 바로 알아보자~! (0) | 2021.03.21 |
20201 개인사업자 연말정산은 어떻게? (0) | 2021.03.07 |
거북목 방치했다간 큰일나요 (0) | 2021.02.26 |
댓글